돌봄사업
돌봄활동

돌봄사업과 관련된 행사소식 및 활동자료를 만나보실 수 있으며,
돌봄이 필요한 조합원들은 사연이나 요청글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.
[나, 우리, 돌봄:기금_19] 서대문지구 조합원 모임 (6/22 북가좌1동 주민센터)
작성자
울림두레생협
작성일
2023-06-23 13:58
조회
44
열아홉번째 돌봄 이야기 자리는 서대문지구 북가좌점을 이용하시는 조합원님들을 모시고 진행되었습니다.
두레생협에서 생활재위원회, 마을위원회로 활동하시는 분들이자, 본업으로 사회복지사로 활동하고 계시거나 자원봉사를 하고 계시는 분들이어서 돌봄과 봉사 현장의 실제적인 경험들을 많이 들을 수 있던 귀한 자리였습니다.

두레생협에서 생활재위원회, 마을위원회로 활동하시는 분들이자, 본업으로 사회복지사로 활동하고 계시거나 자원봉사를 하고 계시는 분들이어서 돌봄과 봉사 현장의 실제적인 경험들을 많이 들을 수 있던 귀한 자리였습니다.

전 조합원이 돌봄기금에 참여하게 된다면 돌봄기금을 어디에 사용하고 싶은가요?
- 저희 어머니께서 올해 89세가 되셨는데 혼자 사세요. 거리가 있어 제가 매주 찾아 뵙지는 못하는데 홀로 사시는 어머니가 외롭지는 않으실지, 갑자기 무슨 일이 생기지는 않으실지 항상 신경이 쓰여요. 그래서 잘 계신지 안부를 물어봐주고 확인해주는 말벗 서비스가 있다면 일주일에 한번이라도 서비스 이용을 해보고 싶어요. 그리고 응급상황이라는 건 언제든 발생할 수 있잖아요. 갑자기 어머니가 쓰러지셨을 때 버튼 하나만 누르면 바로 119에 응급상황을 알리고 호송할 수 있는 서비스도 있었으면 좋겠네요. 지금은 저희 가족과 연결해놓는 알람을 해놓고 있어요. 어머니가 누르면 연락처가 저장된 가족 3-5명에게 바로 연락이 가는 벨 버튼이있어요. 두레생협에서도 위급 상황 시 이렇게 바로 누를 수 있는 긴급구조 벨 버튼을 개발해보면 어떨까요? 장애인분들이나 혼자 사시는 연로한 어르신들에게 꼭 필요한 물품일 것 같아요.
- 저는 50대 이후에 생기는 중년 우울증에 대해 생각해봤어요. 우울증에 걸린 사람이 일어날 수 있게 응원해주는 서비스가 있으면 좋겠어요. 갱년기를 앓거나 우울증이 왔을 때 가족 간에 사이가 안 좋아서 의지할 사람이 없거나, 집에서만 지내는 사람들은 계속 본인의 상황에 집중하게 되니 힘들어서 이겨내기가 어려울 것 같더라고요. 그래서 생애주기에 따라 신체적, 정신적 변화를 겪고 있는 중장년들을 대상으로 소모임을 지원하면 어떨까 싶었어요. 갱년기 극복이나 치료 차원에서 접근해봐도 좋을 것 같아요. ‘돌봄’하면 어르신들을 가장 먼저 떠올리기 쉬운데 그 전에 저 같은 중장년층도 돌봄이 필요한 게 아닐까 싶어 자기돌봄에 대해 고민해봤어요. 두레생협에서도 이미 중장년 모임을 진행하고 있고, 아마 다른 기관에서도 관련 모임이나 서비스가 있을 수 있지만 대상자나 잠재적인 이용자분들이 마음을 열고 다가올 수 있도록 하는 게 제일 중요할 것 같아요. 그러려면 평소에 신뢰나 관계를 잘 쌓아놓는 일이 중요하겠죠?
- 저는 평소에 자원봉사를 정말 많이 하고 있어요. 지적장애인들과 여행도 가고, 요양병원 가서 어르신들을 모시고 레크레이션도 하고 엄마손 마사지 서비스도 해드리고 있어요. 돌봄도 어떤 면에서는 봉사랑 같은데 봉사나 돌봄에 참여할 수 있게끔 독려하는 정보를 접하기가 힘들거나 참여 계기가 없어서 아쉬워요. 그래서 저는 두레생협에서 조합원들이 1년에 한번이라도 봉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시면 어떨까 싶었어요. 두레생협에서 자주 하는 반찬 만들기 소모임, 수세미 뜨기 이런 활동들에 조합원들이 참여하면 만든 결과물은 기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줘보면 어떨까요? 한발만 내딛으면 쉽게 시작할 수 있는데, 그 한발을 못 디뎌서 못 가는 사람들도 많아서 그 분들을 독려해보고 싶어요.
- 저는 사회복지사로 일하고 있는데 두레생협의 생활응원 서비스인 병원동행서비스에 참여해본 경험이 있어요. 제가 같이 동행한 분은 당뇨가 있어 눈이 잘 안보이셨는데, 대학병원에 방문해 여러 분과를 시간차를 두고 3시간 대기하다가 진료받으니까 여러모로 힘들었을 상황이 느껴졌어요. 또 한 분은 정신장애가 있으신 분이었는데 식사를 하는 것도, 마땅한 식사 장소를 찾는 것도 어려웠어요. 직접 도움이 필요한 분들을 모시고 가보니 정말 필요한 서비스라는 걸 깨달았어요. 두레생협에서 앞으로도 조합원들의 필요에 맞는 여러 생활응원 서비스를 런칭하면 좋겠다고 응원합니다. 그리고 또 하나의 바람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분들이 있는데 그런 분들을 두레생협이 잘 찾아서 지원해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.

전체 0
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.